[adolescent(청소년)상담] adolescent(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3:08
본문
Download : [청소년상담] 청소년 내담자의 특징.hwp
마찬가지로 상담을 의뢰한 부모나 교사에게도 상담자의 역할을 올바르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따 상담을 통해 靑少年(청소년) 내담자의 모든 문제가 일시에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靑少年(청소년) 내담자뿐만 아니라 교사나 부모도 상…(To be continued )
순서
[청소년상담] 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 [청소년상담] 청소년 내담자의 특징인문사회레포트 , 청소년상담 청소년 내담자 특징
[adolescent(청소년)상담] adolescent(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설명
![[청소년상담]%20청소년%20내담자의%20특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2%AD%EC%86%8C%EB%85%84%EC%83%81%EB%8B%B4%5D%20%EC%B2%AD%EC%86%8C%EB%85%84%20%EB%82%B4%EB%8B%B4%EC%9E%90%EC%9D%98%20%ED%8A%B9%EC%A7%95_hwp_01.gif)
![[청소년상담]%20청소년%20내담자의%20특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2%AD%EC%86%8C%EB%85%84%EC%83%81%EB%8B%B4%5D%20%EC%B2%AD%EC%86%8C%EB%85%84%20%EB%82%B4%EB%8B%B4%EC%9E%90%EC%9D%98%20%ED%8A%B9%EC%A7%95_hwp_02.gif)
![[청소년상담]%20청소년%20내담자의%20특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B2%AD%EC%86%8C%EB%85%84%EC%83%81%EB%8B%B4%5D%20%EC%B2%AD%EC%86%8C%EB%85%84%20%EB%82%B4%EB%8B%B4%EC%9E%90%EC%9D%98%20%ED%8A%B9%EC%A7%95_hwp_03.gif)
다.
첫째, 靑少年(청소년) 내담자들은 상담동기가 부족하다. 부모나 교사가 靑少年(청소년) 의 행동적 特性(특성)이나 학업 성취를 문제로 인식하면서 상담을 요청하기 때문에 靑少年(청소년) 들은 상담에 대해 호감보다 의심과 적대감을 표출하는 경향이 있따 이와 같이 상대에 대한 靑少年(청소년) 들의 부정적 태도와 익숙하지 않은 상담文化 때문에 靑少年(청소년) 은 남선 상담실에서 자신을 솔직히 드러내는 것 자체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 거부감을 갖는다.
Download : [청소년상담] 청소년 내담자의 특징.hwp( 34 )
레포트/인문사회
[adolescent(청소년)상담] adolescent(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청소년상담,청소년,내담자,특징,인문사회,레포트
[靑少年(청소년) 상담] 靑少年(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靑少年(청소년) 상담에서 만나는 靑少年(청소년) 내담자들은 일반 내담자와 다른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담자의 역할은 일방적으로 지시하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며, 단순히 부모나 교사의 요구사항을 靑少年(청소년) 내담자에게 관철시키는 대리인이 아님을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靑少年(청소년) 내담자는 상담자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경향이 있따 靑少年(청소년) 은 상담자에 대해 자신들을 평가하고 상벌을 제시하는 교사나, 참견과`간섭하면서 요구와 지시에 복종하기를 바라는 부정적인 기성세대로 표상한다. 이때 靑少年(청소년) 내담자는 위축되고 상담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가령 침묵이나 `몰라요`, `그냥요`등과 같은 대답이나 `예`, `아니오` 식의 단답형 대답 그리고 저항성 대답을 함으로써 상담진행을 어렵게 만든다. 대부분의 靑少年(청소년) 들이 정체성 확립과 독립성에 대한 요구가 높기 때문에 타의에 의해 처음 되는 상담은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이는 기성세대에 대한 靑少年(청소년) 들의 편견일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靑少年(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왜곡된 기대 때문일것이다 따라서 상담자는 靑少年(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기대를 확인하고 상담자의 역할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시켜야 한다. 靑少年(청소년) 들은 스스로 상담을 요청하기보다 부모님이나 교사에 의해 상담을 처음 하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