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航空(항공) >CRM 훈련의 현재와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1:13
본문
Download : CRM훈련의.hwp
3) AQP ( Advanced Qualification Program ) 전망
2. CRM 훈련의 현재 ( 대한航空 CRM )
2) LOFT ( Line Oriented Flight Training )
1. CRM 훈련의 배경
본 회사 CRM Seminar도 승무원들의 대인 관계, 의사 소통, 지휘 통솔력의 함양을 통해서 航空의 안전이란 궁극적 goal(목표) 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주추돌을 이루고자 개발되어 기본 이념을 습득하고 이를 실제 비행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체계적 과정이라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3) 훈련 후 나온 질문 내용
설명
CRM 이론(理論) 부분은 Seminar 참가 전에 자습으로 하고 이를 토대로 한 모든 Seminar 활동은 특수 장소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과거 20년간 航空기의 준사고 및 사고 ( Incidents and Accidents ) 의 원인(原因)이 승무원들이 가용할 수 있는 자원 ( Resources )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FAA AC 120-51B에서도 CRM은 기술 요원의 집합체가 아니라 Team의 기능 향상, Crew 업무의 효율에 관계되는 Behavior, Leadership의 효율적 행사 및 각 Crew의 Coordination에 중점을 둔다고 하고 있습니다.
Teamwork에 어떻게 공헌하고 저해하는 가를 이해하게 합니다.
1) LOFT 훈련의 정착
1. CRM 훈련의 배경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CRM훈련의.hwp( 59 )
CRM LOFT 대한항공 고객관리 / ()
<대한航空(항공) >CRM 훈련의 현재와 방향
CRM LOFT 대한航空(항공) 고객관리 / ()
3. Human Factor 훈련의 방향
둘째로 자기 자신을 정확히 알게 하고 Teamwork 에 어느 정도 공헌하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3박 4일 동안 40 시간 Program으로 편성되어 있고 Team은 6명 단위로 Seminar는 3개 ∼ 4개 Team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 CRM Seminar의 goal(목표) 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Leadership의 유형을 GRID 이론(理論)으로 분류하고 이해하며
다.
순서
과거 비행 훈련의 초점은 예외 없이 기술적 측면을 강조해 왔든 것이 사실이며 여러 가지 승무원의 관리 기량 ( Management Skill )을 efficacy적으로 향상시키는 훈련에 대하여는 소홀히 해 왔든 것이 사실입니다. Human Factor에 의한 원인(原因)은 여러 가지 있겠지만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이 승무원들 간의 잘못된 의사 결정, 비효율적 의사 소통, 적절하지 못한 통솔력 ( Leadership ) 그리고 서투른 관리 ( Poor Management ) 라고 하고 있습니다. 즉 개인 보다는 Team의 기능을 향상하고자 하며, Team 기능의 효율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통솔력 ( Leadership ) 을 함양한다든가 복잡 다양한 업무에 잘 적응할 행동양식 ( Behavior )이 어떤 것이고 어떻게 變化하여야 안전에 기여하는가 하는 것들이 공통의 관심사입니다.
1986년 12월 1차 CRM Seminar를 시작한 이래 현재가지 75차를 실시하여 1,500명 이상이 본 과정을 이수하였고 계속 실시 예정으로 있습니다.
2. CRM 훈련의 현재 ( 대한航空 CRM )
1. CRM Seminar
2) LOE ( Line Oriented Evaluation )제도





1) CRM Seminar
CRM LOFT 대한항공 고객관리
사고 이후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기술적 절차가 보강되었으나 Human Factor 부분을 이해하지 않고는 안전을 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본 회사는 1986년 United Airlines과 Scientific Methods Inc.,가 공동으로 개발한 CRM Program을 도입하여 수정 없이 같은 Program을 CRM 훈련에 적용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75차에 걸쳐 1,542명의 Cockpit 승무원이 수료하였습니다. 각 航空사 마다 CRM Program의 실시 방법은 다양하지만 모두 공통의 goal(목표) 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1980년도 김포 공항에서 악시정 하에서 착륙하려다 Undershoot 한 B747기 사고, 1983년도 사할린 상공에서 소련 전투기에 의하여 격추된 B747기 사고 그리고 같은 해 미국 Anchorage 공항에서 잘못된 이륙 절차로 인한 DC-10 기 사고 등 일련의 사고들이 모두 사고의 형태는 다르지만 Human Error의 복합적인 사고로 판단되고 있습니다.